본문 바로가기
정보 포스트잇/생활 정보

자취생 쓰레기 분리배출 완전 정복 2편 : 생활용품 & 전자제품 폐기물 & 과태료

by 잇어프리 2025. 5. 20.

🏠 자취방 청결 유지의 핵심!

방 구석구석 숨은 쓰레기들을 찾아 분리배출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자취생 쓰레기 분리 배출

지난 편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자취방 생활공간 곳곳에 숨어있는 다양한 쓰레기들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욕실에서 나오는 생활쓰레기, 전자제품, 의류, 신발..., 지금부터 자취방을 깔끔하게 만드는 두 번째 여정을 시작합니다.

 

 

자취생 쓰레기 분리배출 완전 정복 1편 : 배달 음식(치킨) & 냉장고(계란) 편

🎉 자취 초보 필독!📦 냉장고 속 😥 눅눅한 음식물 쓰레기, 현관 앞 🤯 쌓여가는 배달 쓰레기 더미…자취를 생활을 하면서 '이걸 어떻게 버려야 하지?' 머리 싸맸던 경험, 이제 그만! 헷갈리는

infopang.com

 


 

 

아래 항목별 기준은 환경부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일부 시도에서는 세부 기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폐기물

혼자 살아도 가족과 사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생활용품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배출 처리도 따라옵니다. 그러면 처리 기준을 하나씩 알아볼까요?

 

 의류 및 생활잡화

옷

 

➡️신발

  • 재사용 가능 신발 : 의류 수거함으로 배출 (신발 두 짝이 흩어지지 않도록 비닐봉지에 담거나 끈으로 묶음)
  • 재사용 어려운 신발 :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

➡️ 의류

  •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상태 : 의류수거함에 배출
  • 찢어지거나 오염 심한 옷 :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
  • 속옷 : 새것에 가까운 경우 의류수거함 가능. 그 외는 일반쓰레기로 배출
  • 양말 / 스타킹 : 일반쓰레기로 배출

➡️ 침구류

  • 부피 작은 이불 (홑이불, 담요 등) : 상태가 좋으면 의류수거함에 배출하거나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로 배출
  • 부피 큰 이불 (솜이불, 오리털이불 등) : 잘라서 종량제봉투에 배출하거나 대형 생활폐기물 신고 배출
  • 베개/쿠션 : 잘라서 종량제봉투에 배출하거나 대형 생활  폐기물로 신고 배출

➡️ 가방

  • 천 재질 가방 : 상태가 좋으면 의류수거함 또는 일반쓰레기(종량제봉투)로 배출
  • 가죽 가방 :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 (일반쓰레기 배출 시 철 재질은 가능한 떼어낸 후 분리배출)
  • 캐리어 : 대형 폐기물 스티거 구매 후 부착 배출

 

 

 

 

 

 

 


⚠️ 중요

의류수거함의 수거 품목은 관리 주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배출 전에 수거함에 적힌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화장실 욕실용품

욕실용품

  • 세제/샴푸 용기 : 내용물 비우고 헹궈서 플라스틱 재활용
  • 칫솔 : 칫솔모와 손잡이 합체되어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
  • 치약 튜브 : 내용물 최대한 짜내고 일반쓰레기로 배출
  • 면도날/일회용 면도기 : 특수용기나 종이에 싸서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처리

 

 

전자제품 및 특수 폐기물

자취 생활에 전자제품이 빠질 수 없죠? 그러나 고장이 났을 때나 교체 후에 처리도 중요하죠. 전자제품 처리 방법도 알아볼까요?

 소형 가전

높이 1m 미만의 소형가전(휴대폰, 노트북, 믹서기, 선풍기, 청소기, 헤어드라이어, 전기밥솥, 토스터기 등)은 버리는 방법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소형가전

 

➡️ 대형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 활용

  • 대형 폐가전 수거 신청 시 소형 가전도 함께 무상으로 수거 가능
  • 소형 가전만 버릴 때는 5개 이상 모아서 신청하면 무상 방문 수거 가능

➡️ 소형 폐가전 전용 수거함 이용

  • 주민센터, 아파트 단지 내, 또는 기타 공공장소에 비치된 소형 폐가전 전용 수거함에 배출

➡️ 유료 폐기물 스티커 활용

  • 폐기물 스티커 구매 부착 후 배출

➡️ 휴대폰 폐기 시

  • 주민센터의 소형 폐가전 수거함에 배출
  • 나눔폰 홈페이지(www.xn--910b51a865e.kr)를 통해 기부 가능. 착불 택배 발송

 

 


대형 가전

대형가전

 

➡️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

  •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이용 하여 배출 가능
  • 온라인 (www.15990903.or.kr) 또는 콜센터 (1599-0903) 이용하여 예약
  • 대형 폐가전 1개 이상이면 이용 가능

 

 

➡️ 대형 생활 폐기물 스티커 부착 배출

  •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 일정이 맞지 않을 때 유료로 대형 생활 폐기물 스티커를 구매 부착 후 배출

➡️ 신제품 구매 시

  • 신제품 구매 후 설치하는  제조사에게 동일 종류의 구가전을 수거 요청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무사항)

 

충전선 외 기타 용품

충전기

  • 충전기/케이블 :  일반종량제 배출. 주민센터 등 소형 폐가전 전용 수거함 이용 배출 가능
  • 멀티탭 : 일반종량제 배출. 주민센터 등 소형 폐가전 전용 수거함 이용 배출 가능
  • 건전지 : 지정된 수거함 (일반쓰레기 NO! 화재 위험)
  • 형광등/전구 : 전용 수거함 (깨지지 않게 조심) / 만약 깨졌다면 불연성 쓰레기봉투에 넣어 배출

 

 

쇼핑의 흔적들

혼자 살다 보면 온라인 쇼핑 비중이 높아지는 게 사실입니다. 쇼핑 후 발생하는 포장재 등의 처리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태배박스

 

  • 택배 박스 : 테이프 떼어내고 종이류 재활용 (스티커도 제거)
  • 에어캡(뽁뽁이) : 터뜨리고 비닐류 재활용
  • 스티로폼 : 테이프 제거하고 스티로폼 재활용 (부피 줄이기)
  • 테이프 : 접착제 때문에 일반쓰레기 (재활용 방해물)
  • 보온/보냉백 : 복합소재라 일반쓰레기 (분리 불가)

보냉백

  • 배달 영수증 : 감열지라 일반쓰레기 (재활용 안됨)

 

 

무단투기 과태료

자취 생활 중 무단으로 쓰레기를 버리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종량제봉투에 음식물쓰레기나 재활용쓰레기를 넣는 것도 무단투기에 해당합니다. 아래 내용은 서울시 각구의 일반적 기준입니다.

  • 종량제봉투에 음식물, 재활용 쓰레기를 혼합배출하여 버린 경우 → 10만원
  • 종량제봉투가 아닌 비닐봉지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버린 경우 → 20만원

과태료는 지역과 위반 행위, 정도, 횟수 등에 따라 다르게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할 행정관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의 '내 손안의 분리배출' 정보 앱을 이용하여 분리배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2편에서는 생활 용품, 의류 그리고 가전제품에 이르는 다양한 폐기물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자취방에서 나오는 쓰레기 처리는 문제없이 잘 해낼 수 있을 거예요!

환경보호

 

쓰레기 분리배출은 때로는 귀찮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을 보호하고 소중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실천입니다. 여러분의 작은 노력이 깨끗한 자취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아름다운 지구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될 거예요.

 

"깨끗한 자취방과 아름다운 지구"를 함께 만들어가는 여러분을 언제나 응원합니다!

 

 

 

 

자취생 쓰레기 분리배출 완전 정복 1편 : 배달 음식(치킨) & 냉장고(계란) 편

🎉 자취 초보 필독!📦 냉장고 속 😥 눅눅한 음식물 쓰레기, 현관 앞 🤯 쌓여가는 배달 쓰레기 더미…자취를 생활을 하면서 '이걸 어떻게 버려야 하지?' 머리 싸맸던 경험, 이제 그만! 헷갈리는

infop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