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포스트잇/맞춤법 알쏭달쏭

[맞춤법] 가방을 메다? 매다? 바른 표현법

by 잇어프리 2025. 8. 6.

"메다"와 "매다" 바른 표현법

메다vs매다

 

"가방을 '메야'할까, '매야'할까?" 하며 고민해 본 적이 있나요?
오늘은 메다매다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핵심 정리

구분 메다 매다
어깨나 등에 걸치거나 지다 끈이나 줄을 엇걸고 잡아당겨 마디를 만든다 
예문 가방을 메고 간다 넥타이를 매다
기억법 '어'깨에 메고 간다
→ 'ㅓ' 메다
'듭'을 만든다!
→ '매'  매다

 

 

 

✒️ 메다

1. 뜻

  •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

2. 사용 예문

 

  • ✅ 책가방을 메고 학교에 간다.
  • ✅ 배낭을 메고 등산을 했다.
  • ✅ 무거운 짐을 메느라 힘들었다.
  • ✅ 내가 총대를 메고 말하겠다.
  • ✅ 큰 짐을 메느라 어깨가 아프다.

3. 기억법!

  • 가방을 어깨에 메는 행위  → 어깨의 ''  → 다  

 

➡️ 기타 의미로 쓰이는 예

목이 메다 / 하수구가 메다

더보기

메다가 아래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뚫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이 막히거나 채워지다.

✔️ 어떤 장소에 가득 차다.

✔️ 동사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다.

 

- 하수도 구멍이 음식물 쓰레기로 메다.
- 광장에 사람이 메어 터지게 들이닥쳤다.
- 나는 목이 메어 말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가방을 메다

 


✒️ 매다

1. 뜻

  •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 동사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 동사 가축을 기르다.

2. 사용 예문

  • ✅ 신발끈을 단단히 매다.
  • ✅ 리본과 넥타이를 예쁘게 매어 주었다.
  • ✅ 허리띠를 매고 나갔다.
  • ✅ 그는 직장에 매인 몸이었다.
  • ✅ 직장에 매인 목숨이니 어쩔 도리가 없다

3. 기억법!

  • 넥타이 매듭을 만든다 → ''듭  → 다  

 

➡️기타 의미로 쓰이는 예

풀을 매다 / 값을 매(기)다

더보기

매다가 아래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논밭에 난 잡풀을 뽑다.

- 전원주택에서 풀을 매는 것은 여름에 큰일이다.

 

✔️ 어떤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정하다.

- 상인은 상품에 값을 매(기)느라 정신이 없었다.

- 선생님은 시험 점수를 매(기)느라 바빴다.

 

기억법!

풀을 매다 → 풀   ㅜ 매다

값을 매(기)다  ㅏ 매다


⚡ 이것만 기억하세요!

매다 - 매듭풀고값시다

 

✅ 매다는 "  시다"

  •  '매듭 묶고(인)",
  • "풀 매고"
  • "값(시험점수) 매길 때"
    이 세 가지는 모두 '매다'를 씁니다.

 

나머지는 거의 '메다'

  • 위 3가지 외에는 대부분은 어깨에 메는 '메다'가 정답이에요.

 

이제 확실히 기억나시죠?

  • 👉 "매다 = 매듭 풀고 값시다"만 생각하세요!
  • 👉 이 말만 기억해도 틀일 일이 거의 없습니다!

오늘부터는 '매다'와 '메다', 헷갈리지 말고 바르게 사용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