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포스트잇/맞춤법 알쏭달쏭

[맞춤법] '안' '않' 차이점 구별하기 바른 표현

by 잇어프리 2025. 8. 29.

'안'과 '않' 바른 표현법

안 않 구별하기

 

글을 쓰면서 "안? 않?" 하며 고민해 본 적이 있나요?
오늘은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핵심 정리

구분
부정의 뜻 '아니'의 준말 어간 '아니하(다)'의 준말
예문 그건 된다 그렇지 않다
기억법 - '안' 대신 '아니'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앞에 위치
- 안을 빼도 문장이 성립
- '않' 대신 '아니하'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뒤에 위치
- 바로 앞 단어 '-지' 끝날 때 

 

 

 

✒️ 안

1. 뜻

  • 부정의 뜻 '아니'의 준말 

2. 사용 예문

  • ✅ 나는 그것을 (아니) 했어.
  • ✅ 오늘은 밥이 (아니) 먹고 싶다.
  • ✅ 나는 그가 (아니) 보고 싶다.
  • ✅ 그 옷은 너랑 (아니) 어울려.
  • ✅ 그것은 (아니) 된다.
  • ✅ 나는 (아니) 할 거야.
  • ✅ 오늘은 눈이 (아니) 온다.
  • ✅ 올해 겨울은 (아니) 춥다.
  • ✅ 그 그림은 (아니) 예쁘다.
  • (아니) 그래
  • (아니) 돼
  • ✅ 왜 (아니) 된대
  • (아니) 하다.

   ※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로 동사, 형용사 수식할 때 띄어 씀

 

3. 기억법!

  • '' 대신 '아니'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앞에 위치
  • '안'을 빼도 문장이 성립

 

⭕ 안 된다 vs 안된다

✅ 안 된다 (⭕)
      → 뜻 : 되다의 부정
      → 이곳은 장사를 하면 안 된다. (이곳은 장사 금지)
                    
✅ 안된다 (⭕)
      → 뜻 :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 = 잘되다의 반대 개념
      → 이곳은 장사가 안된다. (이곳은 장사가 잘되지 않는다)
           그 일은 참 안됐군. (그 일이 좋게 이루어지지 못함)
           마음이 안됐어. (섭섭하거나 가엾어 마음이 언짢다)

안 않 구별하기2


✒️ 않

1. 뜻

  • 어간 '아니하(다)'의 준말

2. 사용 예문

  • ✅ 오늘은 밥이 먹고 싶지 않다(아니하).
  • ✅ 나는 그가 보고 싶지 않다(아니하).
  • ✅ 그 옷은 너랑 어울리지 않아(아니하).
  • ✅ 오늘은 눈이 오지 않는다(아니하).
  • ✅ 그 그림은 예쁘지 않다(아니하).
  • 그렇지 않다(아니하).
  • ✅ 많이 먹지는 않되(아니하되) 운동도 해야 한다.
  • ✅ 그가 밉지는 않다(아니하).
  • ✅ 이 시간은 그렇게 밝지 않다(아니하).
  • ✅ 이제 더 이상 널 보지 않을(아니하) 거야.
  • ✅ 그는 돈이 많지 않아(아니하).

 

3. 기억법!

  • '' 대신 '아니하'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뒤에 위치
  • 바로 앞 단어 '-지' 끝날 때 

⚡ 이것만 기억하세요!

안 않 구별하기3

 

  • '안' 대신 '아니'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앞에 위치
  • 안을 빼도 문장이 성립

 

  • '않' 대신 '아니하'를 넣어 자연스러운지 확인
  • 동사/형용사 뒤에 위치
  • 바로 앞 단어 '-지' 끝날 때 

 

오늘부터는 ''과 '', 헷갈리지 말고 바르게 사용해요!

 

 

 


틀리기 쉬운 아래 맞춤법도 확인해 보세요~ 

 


책가방을 ( 매고 / 메고 ) 학교에 간다.

허리띠를  ( 매고 / 메고 ) 나갔다.

전원주택에서 풀을 ( 매는 / 메는)  것은 여름에 큰일이다

 

👉매다 / 메다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가방을 메다? 매다? 바른 표현법

 


감기가 ( 낫는 / 낳는 ) 것 같더니 더욱 심해졌다.

✅ 드디어 첫 아이를 ( 나았다 / 낫았다 / 낳았다 ).

✅ 병이 씻은 듯이 ( 낫았다 / 나았다 / 낳았다 ).

 

👉낫다 / 낳다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감기가 낫다? 낳다? 바른 표현법


✅ 현금 ( 결제 / 결재 )도 가능합니다.

휴가 신청서에 팀장님의 ( 결제 / 결재 ) 사인이 떨어졌다.

 

👉결제 / 결제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카드 결제하다? 결재하다? 바른 표현법


네가 ( 왠일 / 웬일 ) 이야?

✅ 오늘은 ( 왠지 / 웬지 )  기분이 좋아.

 

👉왠 / 웬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왠지/웬지? 왠일/웬일? 왠걸/웬걸? 왠/ 바른 표현법


핑계를 ( 대다 / 되다 ).

✅ 스마트폰 배터리가 다 ( 대다 / 되다 ).

✅ 징징 ( 대며 / 되며 )  우는 아이

 

👉대다 / 되다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징징대다? 징징되다? 핑계 대다? 핑계 되다? 바른 표현법

 


 

그는 실수를 ( 샐 / 셀 ) 수 없이 많이 하였다.

✅ 밤이 ( 새도록 / 세도록 )   이야기꽃을 피웠다.

그 정보는 기획부서에서  ( 새어 / 세어 )  나왔다.

 

👉새다 / 세다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밤 새다? 세다? 숫자를 새다 세다? 바른 표현법


 

✅ 지구는 ( 어떻게 / 어떡게 ) 만들어졌나?

✅ 요즘 ( 어떻게 / 어떡게 )  지내니?

✅ 나  ( 어떻해 / 어떡해 )  ?

 

👉어떻게 / 어떡해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어떻해? 차이점 바른 표현


그러면 안 ( 되지 / 돼지 ).

좋은 사람이  ( 되야지 / 돼야지 ).

 (되야 / 돼야 )  될 텐데

돌아가!. 안 (되 / 돼 ) !

 

👉되 / 돼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되'와 '돼' 차이 구별 바른 표현


✅ 민서가 시험이 ( 어렵대 / 어렵데 ), 너는?

✅ 그 영화 진짜 ( 재밌대 / 재밌데 )

✅ 올해는 왜 이렇게 ( 덥대 / 덥데 ) ?

아는 ( 대로 / 데로 ) 설명해라.

✅ 그 가방은 ( 알만대 / 얼만데 )

 

👉대 / 데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대? 데? 차이점 구별 바른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