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다'와 '세다' 바른 표현법
"밤 새다, 세다?" 하며 고민해 본 적이 있나요?
오늘은 새다와 세다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핵심 정리
구분 | 새다 | 세다 |
뜻 | 날이 밝아 오다 | 사물 수효를 헤아리다 |
예문 | 시간이 흘러 밤이 새다 | 맛난 밤이 몇 개인지 세다 |
기억법 | 밤/날이 밝다 → ㅏ → 새다 | 헤아리다 → ㅔ → 세다 |
✒️ 새다
1. 뜻
- 날이 밝아 오다
2. 사용 예문
➡️ 새다
- ✅ 드디어 밤이 새다.
- ✅ 밤이 새도록 이야기꽃을 피웠다.
- ✅ 밤이 샐 때까지 게임을 했다.
- ✅ 그녀는 밤새도록 통곡했다.
- ✅ 그는 밤새도록 게임을 했다.
➡️ 새우다
- 새다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
- 밤을 새다(❌)
- ✅ 밤을 새우다.
- ✅ 밤새운 보람이 있다.
- ✅ 시험공부를 하느라 밤을 새웠다.
- ✅ 걱정으로 인해 밤을 뜬눈으로 새웠다.
- ✅ 보고서를 작성하느라 밤을 새워 퇴근했다.
- ✅ 어젯밤 축구 경기를 보느라 밤을 새웠다.
- ✅ 밤새워 편지를 쓰다.
3. 기억법!
- 밤/날이 밝다 → ㅏ → 새다
⭕ 다른 뜻 : 새다
✅ 대피소 지붕에서 비가 샌다.
→ 기체 액체가 틈이나 구멍으로 빠져나가거나 나오다.
✅ 방에서 불빛이 새 나왔다.
→ 빛이 틈이나 구멍을 통해 나거나 들다.
✅ 그들이 모의하는 소리가 새었다.
→ 소리가 빠져나가거나 바깥으로 들리다.
✅ 어느 날부터 지갑에서 돈이 자꾸 샌다.
→ 돈이나 재산 따위가 조금씩 부족해지거나 다른 데로 나가는 상태
✅ 그 정보는 기획부서에서 새어 나왔다.
→ 비밀 따위가 몰래 밖으로 알려지다.
✅ 모임에서 슬그머니 딴 데로 샜다.
→ 슬그머니 빠지거나 다른 곳으로 나가다.
✅ 이야기가 이상한 쪽으로 새곤 하였다.
→ 주된 화제에서 벗어나거나 다른 주제로 바뀜
✅ 학교에 가지 않고 딴 곳으로 새 버렸다.
→ 원래 가야 할 곳으로 가지 아니하고 딴 데로 가다.
※ 무엇, 어디서 빠지다/나가다 → ㅏ → 새다
⭕ 쌔다
✅ 쌓일 만큼 퍽 흔하고 많이 있다
→ 쌔고 쌘 것이 남자인데, 그런 사람을 만나냐?
✅ 쌓이다의 준말
→ 간밤에 눈이 많이 쌔었다.
✒️ 세다
1. 뜻
- 사물 수효를 헤아리다.
2. 사용 예문
- ✅ 돈을 세다.
- ✅ 숫자를 하나씩 세다.
- ✅ 셀 수 없을 만큼 여러 번 넘나 들었다.
- ✅ 그는 실수를 셀 수 없이 많이 하였다.
- ✅ 내가 한 고생은 셀 수 없다.
3. 기억법!
- 헤아리다 → ㅔ → 세다
⭕ 다른 뜻 : 세다
✅ 그는 기운이 세다.
→ 힘이 많다.
✅ 그는 고집이 세다.
→ 기세 따위가 강하다.
✅ 비가 와서 계곡의 물살이 세었다.
→ 기세가 크거나 빠르다.
✅ 우리 중에 그가 술이 가장 세다.
→ 능력, 수준 정도가 높거나 심하다.
✅ 그 물고기는 가시가 세다.
→ 사물의 감촉이 딱딱하고 뻣뻣하다.
✅ 그녀는 팔자가 매우 세다.
→ 운수, 터가 나쁘다.
※ 거칠고 험한 상태 → ㅓ → 세다
⚡ 이것만 기억하세요!
✅ 새다 → 밝다
- 밤/날이 밝다 → ㅏ → 새다
※ 다른 뜻 : 새다
무엇, 어디서 빠지다/나가다 → ㅏ → 새다
✅ 세다 → 헤아리다
- 헤아리다 → ㅔ → 세다
※ 다른 뜻 : 세다
거칠고 험한 상태 → ㅓ → 세다
오늘부터는 '새다'와 '세다', 헷갈리지 말고 바르게 사용해요!
틀리기 쉬운 아래 맞춤법도 확인해 보세요~
✅ 책가방을 ( 매고 / 메고 ) 학교에 간다.
✅ 허리띠를 ( 매고 / 메고 ) 나갔다.
✅ 전원주택에서 풀을 ( 매는 / 메는) 것은 여름에 큰일이다
👉매다 / 메다 확인하러 가기
✅ 감기가 ( 낫는 / 낳는 ) 것 같더니 더욱 심해졌다.
✅ 드디어 첫 아이를 ( 나았다 / 낫았다 / 낳았다 ).
✅ 병이 씻은 듯이 ( 낫았다 / 나았다 / 낳았다 ).
👉낫다 / 낳다 확인하러 가기
✅ 현금 ( 결제 / 결재 )도 가능합니다.
✅ 휴가 신청서에 팀장님의 ( 결제 / 결재 ) 사인이 떨어졌다.
👉결제 / 결제 확인하러 가기
✅ 네가 ( 왠일 / 웬일 ) 이야?
✅ 오늘은 ( 왠지 / 웬지 ) 기분이 좋아.
👉왠 / 웬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왠지/웬지? 왠일/웬일? 왠걸/웬걸? 왠/ 바른 표현법
✅ 핑계를 ( 대다 / 되다 ).
✅ 스마트폰 배터리가 다 ( 대다 / 되다 ).
✅ 징징 ( 대며 / 되며 ) 우는 아이
👉대다 / 되다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징징대다? 징징되다? 핑계 대다? 핑계 되다? 바른 표현법
✅ 왜 ( 않 / 안 ) 된대
✅ 이곳은 장사를 하면 ( 않 / 안 ) 된다
✅ 오늘은 눈이 오지 ( 않 / 안 ) 는다
👉안 / 않 확인하러 가기
✅ 지구는 ( 어떻게 / 어떡게 ) 만들어졌나?
✅ 요즘 ( 어떻게 / 어떡게 ) 지내니?
✅ 나 ( 어떻해 / 어떡해 ) ?
👉어떻게 / 어떡해 확인하러 가기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어떻해? 차이점 바른 표현
✅ 그러면 안 ( 되지 / 돼지 ).
✅ 좋은 사람이 ( 되야지 / 돼야지 ).
✅ 잘 (되야 / 돼야 ) 될 텐데
✅ 돌아가!. 안 (되 / 돼 ) !
👉되 / 돼 확인하러 가기
✅ 민서가 시험이 ( 어렵대 / 어렵데 ), 너는?
✅ 그 영화 진짜 ( 재밌대 / 재밌데 )
✅ 올해는 왜 이렇게 ( 덥대 / 덥데 ) ?
✅ 아는 ( 대로 / 데로 ) 설명해라.
✅ 그 가방은 ( 알만대 / 얼만데 ) ?
👉대 / 데 확인하러 가기
'정보 포스트잇 > 맞춤법 알쏭달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어떻해? 차이점 바른 표현 (0) | 2025.08.30 |
---|---|
[맞춤법] '안' '않' 차이점 구별하기 바른 표현 (0) | 2025.08.29 |
[맞춤법] 징징대다? 징징되다? 핑계 대다? 핑계 되다? 바른 표현법 (0) | 2025.08.27 |
[맞춤법] 왠지/웬지? 왠일/웬일? 왠걸/웬걸? 왠/웬 바른 표현법 (0) | 2025.08.22 |
[맞춤법] 카드 결제하다? 결재하다? 바른 표현법 (0) | 2025.08.14 |